1. 재미 있는 팀 이름이 먼저 눈에 들어오네요. 학생다운 신선한 아이디어를 기대하게 합니다.
2. 몇 가지 의견을 덧불일게요.
-탐구주제를 명확한 방향성과 함께 제시했으면 합니다. 탐구활동을 수행하겠다는 것이니까 정책적 방향이 없이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라는 느낌을 주면 좋은 점수를 받기에 힘들겠죠?
-금강의 수질 변화를 측정한다고 했는데, 기준을 언제와 언제로 잡고 있을까요? 대회의 주제와 연계해서 변화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어야 의미가 있을 텐데....
-학생들의 탐구활동 내용이 더 궁금해집니다. 단순히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보다는 학생들의 탐구활동이 궁금하다는 것이죠.
3. 10월의 탐구활동 성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궁금합니다. '포스트 코로놀라' 팀의 마무리 탐구 활동을 기대할게요.
1. 코로나19 유행의 결과가 아닌 원인에 대한 것이라 신선한 주제라고 생각함
2. 탐구 목적(코로나19 유행이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에 관한 것)이 탐구 내용과 결과에 부합하는지 확인해 보기 바람
3. 코로나19로 인한 산업활동의 위축이 대기질, 수질 개선으로 이어졌다고 판단하려면 더 긴 기간 비교가 필요할 것임
4. 대기질 비교기간(2019년, 2020년 9~10월)과 수질비교 기간(2019년, 2020년 3~6월)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함
5. 코로나19 유행이 환경(보고서에서는 생태계로 표현하였지만 탐구 내용을 보면 환경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해 보임)에 끼친 영향을 비교하려면 작년 같은 기간 외에도 코로나19 유행 직전의 자료를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임
1. 큰 맥락에서는 연구배경과 연구내용-미세먼지 조사, 금강 수질 조사-가 연결되기는 하는데, 연결이 매끄럽지는 않습니다. 인수공통감염병을 이야기 하다가 갑자기 미세먼지 발생량 조사와 금강 수질 변화로 넘어간 느낌입니다. 물론 모두가 개발활동으로 인한 것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상호간에 연결되는 지점이 너무 급작스럽습니다. 왜 미세먼지와 수질을 조사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2. 전체적으로 내용이 각각 떨어져 있습니다. 배경에서 인수 감염병과 동물서식지 파괴가 나오고 조사에서는 미세먼지와 수질이 나오고 조사와 캠패인으로 연결되는 내용들이 각각 따로 놀고 있습니다. 연구배경과 조사내용, 방법, 대안제시와 결론이 서로 연관성을 강하게 가질 수록 좋은 보고서 입니다. 상호 연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3. 총평 :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보고자 하는 부분은 매우 좋습니다. 다만 다양하게 보고자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상호 연관성이 좀 떨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부분만 보완하면 좋은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2. 몇 가지 의견을 덧불일게요.
-탐구주제를 명확한 방향성과 함께 제시했으면 합니다. 탐구활동을 수행하겠다는 것이니까 정책적 방향이 없이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라는 느낌을 주면 좋은 점수를 받기에 힘들겠죠?
-금강의 수질 변화를 측정한다고 했는데, 기준을 언제와 언제로 잡고 있을까요? 대회의 주제와 연계해서 변화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어야 의미가 있을 텐데....
-학생들의 탐구활동 내용이 더 궁금해집니다. 단순히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보다는 학생들의 탐구활동이 궁금하다는 것이죠.
3. 10월의 탐구활동 성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궁금합니다. '포스트 코로놀라' 팀의 마무리 탐구 활동을 기대할게요.
2. 탐구 목적(코로나19 유행이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에 관한 것)이 탐구 내용과 결과에 부합하는지 확인해 보기 바람
3. 코로나19로 인한 산업활동의 위축이 대기질, 수질 개선으로 이어졌다고 판단하려면 더 긴 기간 비교가 필요할 것임
4. 대기질 비교기간(2019년, 2020년 9~10월)과 수질비교 기간(2019년, 2020년 3~6월)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함
5. 코로나19 유행이 환경(보고서에서는 생태계로 표현하였지만 탐구 내용을 보면 환경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해 보임)에 끼친 영향을 비교하려면 작년 같은 기간 외에도 코로나19 유행 직전의 자료를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임
2. 전체적으로 내용이 각각 떨어져 있습니다. 배경에서 인수 감염병과 동물서식지 파괴가 나오고 조사에서는 미세먼지와 수질이 나오고 조사와 캠패인으로 연결되는 내용들이 각각 따로 놀고 있습니다. 연구배경과 조사내용, 방법, 대안제시와 결론이 서로 연관성을 강하게 가질 수록 좋은 보고서 입니다. 상호 연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3. 총평 :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보고자 하는 부분은 매우 좋습니다. 다만 다양하게 보고자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상호 연관성이 좀 떨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부분만 보완하면 좋은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